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- 마커클러스터
- geopandas에러
- 막대그래프
- Folium
- matplotlib
- map
- 라이엇
- 라이엇api
- 인코등
- Python
- 파이썬
- 지도
- 에러
- covid
- API
- kepler
- kepler.gl
- geopandas설치
- geopnadas
- r
- pipwin
- QGIS라벨링
- OSMnx
- 코로나
- 오픈API
- 시각화
- covid19
- 공공데이터포털
- 오류
- riotapi
- Today
- Total
Nerdy
Uber가 만든 Kepler.gl 본문
Kepler.gl은 Uber에서 Mapbox와 협업하여 만든 공간 데이터 지도 시각화 사이트이며 기존 파이썬을 이용한 Folium이나 지리공간 데이터 시각화에 많이 사용하는 QGIS 등이 있지만 아직은 초보자들에게 큰 어려움을 걲고 있다.
특히 Folium은 차량 움직이는거와 같은 애니메이션 시각화 표출이 필요한데 ant_path 밖에 없다는게 아쉬웠다.
이를 해결할 수 있는게 Kepler.gl이며 간결하고 눈에 잘 보이는 UI 덕분인지 초보자들에게도 큰 무리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.
Kepler.gl은 웹 사이트에서 csv, json, geojon 데이터를 업로드만 하면 바로 시각화 작업이 가능하며 jupyter notebook에서 HTML 형식으로 저장하여 시각화 작업이 가능하다.
Large-scale WebGL-powered Geospatial Data Visualization Tool
Kepler.gl is a powerful web-based geospatial data analysis tool. Built on a high performance rendering engine and designed for large-scale data sets.
kepler.gl
당장의 사용할 데이터 없이 기능을 구경하고 싶으면 'Try Sample Data'를 클릭하여 제공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된다.
기본 틀은 아래 이미지와 같으며 좌측 메뉴 기능은 다음과 같다.
- Layers : 말 그래도 레이어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삽입한 데이터를 이용해 Line, Heatmap, Trip, Point 등의 표출 시각화와 색상 선택을 할 수 있다.
- Filters
- 시간과 관련된 컬럼을 Filter에 걸면 Time Playback 생성
- int 또는 flot 컬럼을 선택하면 값 조절 미니 bar 생성
- str 컬럼은 해당 컬럼의 데이터를 찾을 수 있는 Search Box 생성
- Interactions
- Tooltip : 표출된 지점 또는 라인을 누르면 어떤 정보가 들어 있는지 확인 가능
- Brush : 원하는 영역을 커서로 강조 표시 가능
- Base map : Map Style 선택 및 변경 가능
앞서 언급한 해당 기능뿐만 아니라 서브 기능에 대한 상세 내용은 추가 포스팅에서 다룰 예정이다.
'시각화 > Kepler.G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산광역시 3D 건물과 지하철 노선 시각화 (1) | 2022.10.05 |
---|